최근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사칭한 스미싱이 무섭게 늘고 있습니다.
“접수 완료, 다시 확인”, “대상자 확인”, “신청 링크” 같은 말로 방심을 유도하죠.
특히 부모님 세대, 바쁜 직장인, 택배·공공요금 문자에 익숙한 분들이 표적이 되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정부 카드뉴스의 핵심 메시지를 바탕으로,
실제 피해가 발생하는 방식부터 예방 3원칙,
신고 방법(118·112), 그리고 이미 눌렀을 때의 긴급 대처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1) 실제 피해는 이렇게 발생합니다
- 문자 클릭 후 앱 설치를 유도합니다. APK(안드로이드 설치 파일)나 ‘보안 인증’, ‘업데이트’ 같은 말로 속입니다.
- 앱이 설치되면 문자·통화 가로채기, 접근성 권한 탈취, 화면 위 덮어쓰기로 진짜 금융 앱처럼 보이게 꾸밉니다.
- 이후 계좌·카드 정보, 인증 수단 등을 빼내거나 소액결제를 몰래 실행합니다.
중요: 요즘 공격은 앱 설치 없이도 사기 사이트에서 로그인·인증 정보를 입력하게 만드는 방식도 많습니다. 링크가 보이면 일단 의심부터!
2) 이렇게 예방하세요 – 3가지 원칙
- 문자 내 링크 클릭 금지 – 특히 urll.kr, bit.ly 등 단축 주소는 즉시 삭제를 권장합니다.
- 앱은 공식 스토어에서만 설치 – 구글 플레이·애플 앱스토어 외 출처 차단. ‘알 수 없는 앱 허용’을 꺼 두세요.
- 백신 앱 설치·상시 업데이트 – 신종 악성코드를 실시간 탐지하고, 주기적으로 전체 스캔을 실행하세요.
핵심: 정부가 보내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문자에는 URL 링크가 없습니다. 링크가 있으면 스미싱을 의심하세요.
클릭 전 10초 체크리스트
- 링크가 있다 → 의심
- 앱 설치를 요구한다 → 의심
- 주민번호·계좌·공동인증서·OTP 입력 요구 → 절대 금지
- ‘긴급/미응답 시 불이익’처럼 압박 → 사기 가능성 높음
- 발신 번호가 개인폰/해외 번호/문자전용 번호 → 차단
3) 스미싱 신고 방법과 도움받기
기관/번호 | 용도 | 주요 도움 |
---|---|---|
118 (한국인터넷진흥원) | 스미싱·피싱 상담·신고 | 악성앱 제거 가이드, 보안 설정 점검, 피해 예방 컨설팅 |
112 (경찰청) | 보이스피싱·전기통신금융사기 | 신속 신고·수사 연계, 피해금 지급정지 요청 안내 |
각 카드·은행 고객센터 | 결제/이체 피해 | 카드결제·이체 지급정지, 비밀번호 초기화, 재발급 |
※ 금융 피해 발생 시엔 가장 먼저 결제·이체 지급정지 요청부터 하세요. 동시에 118/112에 신고하면 대응 속도가 높아집니다.
4) 이미 눌렀다면? 10분 안에 할 일
- 비행기 모드 ON – 네트워크 차단
- 다른 기기에서 은행·카드 앱 비밀번호 변경
- 문자함·통화내역 확인 후 의심번호 차단
- 설치된 앱 목록에서 최근 설치 앱 삭제
- 접근성·관리자 권한 해제 후 앱 삭제
- 알 수 없는 앱 설치 차단
- 백신 앱으로 전체 검사
- 금융사·통신사에 연락해 소액결제 한도 잠금
- 118/112 신고로 사건 번호 확보
- 필요시 데이터 백업 후 공장 초기화
중요 팁: 악성앱은 삭제를 방해하려고 기기 관리자·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먼저 획득합니다. 앱 삭제 전 반드시 권한을 해제하세요.
5) 기종별 악성앱 제거 가이드
안드로이드
- 설정에서 Wi-Fi/모바일데이터 일시 OFF
- 앱 목록에서 최근 설치 앱 삭제
- 기기 관리자·접근성 서비스 권한 해제
- Google Play Protect 전체 검사
- 기본 문자앱 복구, 브라우저 기록 삭제
아이폰(iOS)
- 사파리 기록·쿠키 삭제
- 설정 → VPN 및 기기 관리에서 의심 프로파일 삭제
- 의심 앱 삭제 후 보안 앱 검사
- Apple ID·금융 앱 비밀번호 변경
6) 이런 문자는 스미싱입니다
- ‘정부지원금’, ‘긴급 생계비’ 문구 포함
- 앱 설치나 개인정보 입력 유도
- 클릭 유도 링크 포함 (특히 단축 URL)
진짜 정부 안내문자의 특징
- 정보만 제공
- URL 링크 없음
- 개인정보 입력·앱 설치 요구 없음
7) 가족과 함께 지켜요
부모님 폰
- 문자 링크 클릭 방지 설정
- 알 수 없는 앱 설치 차단
- 실시간 결제 알림, 소액결제 한도 0원
- 스미싱 문구 수신 차단 키워드 등록
핸드폰 문자 링크 클릭 방지 설정 방법(부모님도 쉬운)
문자 링크, 실수로 눌러도 걱정 마세요아래 순서대로 5분만 따라 하시면, 스미싱(사기 문자)로부터 훨씬 안전해집니다. 안드로이드(갤럭시·LG폰) 설정1) 잠금화면 알림을 작게 보이게 하기잠금
kokonglog.com
자녀 폰
- 앱 설치 승인제 설정
- 유료 결제 보호자 승인 필수
- 유해 사이트 차단
자녀폰 앱 설치 “부모 승인제” 설정방법 (큰 글씨)
부모님을 위한 쉬운 가이드자녀폰 앱 설치 “부모 승인제” 설정자녀가 앱을 설치할 때마다 부모님 폰으로 알림이 오고, 허용을 눌러야만 설치되도록 만드는 방법입니다. 아래 순서대로만 천천
know.kokonglog.com
8) 자주 묻는 질문
Q. 단축 URL이면 무조건 사기인가요?
정부 지원 안내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Q. 링크만 눌렀고 입력·설치는 안 했는데요?
대부분 안전하지만 기록 삭제, 백신 검사, 비밀번호 변경을 권장합니다.
Q. 피해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나요?
즉시 신고와 지급정지가 핵심입니다.
Q. 카톡/메신저로도 오나요?
네, 가족·지인 사칭 메신저 피싱도 많습니다.
9) 핵심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문자에는 링크가 없습니다.
- 앱 설치·개인정보 입력 요구는 스미싱입니다.
- 링크를 눌렀다면 비행기 모드 → 권한 해제 → 삭제 → 비번 변경
- 피해 의심 시 118·112로 즉시 신고
- 가족 폰은 소액결제 제한·앱 설치 승인제로 차단